백성혜 전공주임교수 |
화학교육과 |
- 연구 관심
융합교육 교수법,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모델링 교육
-
연구 업적
- 2024. 좋아하는 일로 직업을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 3 (그린디자인)
- 2024. 늘봄학교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인문학적 소양과 인성 함양을 중심으로 (그린디자인)
- 2024. Exploring Educational Effects of Classes Using GeoGebra for Crystal Structure Learning (Brain, Digital, & Learning)
- 2024. 중등 교사를 위한 미래문제해결 프로그램 기반 정보, 과학, 수학 교과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연수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 2024. 자연에서 관찰되는 육각구조의 이해를 위한 모델링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인식에 미치는 효과-포디프레임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 2024. ChatGPT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 질문 단계의 변화 및 수업에 대한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 2023. 융합교육으로 미래 교육의 길을 찾다: 미래교육을 열어가는 현장중심 융합교육 (맘에드림)
- 2023. 좋아하는 일로 직업을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 2: 청소년 진로안내서 (그린디자인)
- 2023. Impact of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Family Resemblance Approach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Asia-Pacific Science Education)
- 2023.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using educational television docudramas (Multicultural Education Review)
- 2023.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022. 학교 폭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공감, 용서, 회복, 성장 (형설출판사)
- 2022. 좋아하는 일로 직업을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 1 (그린디자인)
- 2022. Development of Operational Observation Tools for Modeling Spatial Division Patterns (PHYSICS TEACHER)
- 2022. Proposal for a STEAM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xploring the roofline of a hanok using GeoGebra and 4Dfram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
김성천 |
교육정책학과 |
- 연구 관심
교육정책, 마을연계교육과정, 혁신교육, 고교학점제, 마을교육공동체, 학교자치
-
연구 업적
- 2022. 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 (맘에드림)
- 2022. 교육트렌드 2023 (에듀니티)
- 2022. 민선교육감 이후 교육전문직원의 유형과 역할 변화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 2021. 고교학점제의 쟁점과 과제 분석 (교육비평)
- 2020. 학교혁신 리더 교원의 관점에서 본 저항 양상과 극복전략 (한국교원교육연구)
- 2019. 미래교육,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살림터)
- 2018. 학교자치, 1권, 2권 (테크빌교육)
|
김영훈 |
지리교육과 |
- 연구 관심
인문사회과학 데이터 및 도구 기반 융합수업 활용 방안, 교육현장 적용 방안(예증강현실, 3D 프린팅, 스마트콘텐츠, 교수학습 관련 앱 활용, 디지털 데이터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등), 지리학적 접근에 기반한 융합교육 및 관련 콘텐츠 개발
-
연구 업적
- 2021. 오픈스트리트맵을 활용한 지도 수업 설계 및 적용 사례 (융합교육연구)
- 2020. 디지털 지도의 지리적 함의와 지도적 관점
- 2020. 3D 프린팅의 지리학습 콘텐츠 활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2020. 지리 학습을 위한 수업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 중학교 사회1 기후 단원을 중심으로 (융합교육연구)
- 2020. 오픈스트리트맵 활용 수업과 학생 활동 연구: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사례로 (한국지도학회지)
- 2019. 인터넷 인포그래픽 뉴스에 나타난 지리적 내용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2015. 스마트교육을 위한 공간정보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교원교육)
|
이영준 |
컴퓨터교육과 |
- 연구 관심
SW교육 및 컴퓨팅 사고력 연구
-
연구 업적
- 2025. 중학교 정보 (교학사)
- 2025. 소프트웨어와 생활 (교학사)
- 2024. Productive Failure-based Programming Course to Develop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n a Korean Elementary School (Informatics in Education)
- 2024. Investigation into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Factors on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 2024. Development of Data Literacy Competency System for K-12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 2024. Investigating Factors i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 2024. 인공지능 윤리감수성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
정은영 |
미술교육과 |
- 연구 관심
예술기반 융합교육, 심미적 융합교육, 인공지능과 문화적 쟁점 중심 융합교육, 과학·예술 융합과 동시대미술
-
연구 업적
- 2024.02.29. 로버트 스밋슨의 광물학 탐구와 결정 구조의 반향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2023.12.31.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미술프로젝트의 실행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2023.06.30. 버려진 것들의 귀환: 동시대 미술의 이질학적 전략과 그 확장 (현대미술사연구)
- 2022.06.30. Proposal for a STEAM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xploring the Roofline of a Hanok Using GeoGebra and 4Dfram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 2022.03.30.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뉴미디어 아트 교육의 실행과 분석 - 고등학교 사회참여미술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2020.08.31. 마르셀 뒤샹의 신부: 욕망 기계 혹은 하이퍼스페이스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2020.07.15. 메이커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중등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주현식 |
한성대학교 상상력 교양대학 |
- 연구 관심
융합교육, 디지털 인문학, 문학 교육, 교육 연극, 다문화 교육, 창의성과 상상력 교육
-
연구 업적
- 2024. Dramaturgical analysis of Boyle and Hobbes in developing NOS-based chemistry teaching materials for pre-service teachers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 2023.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using educational television docudramas (Multicultural Education Review)
- 2023. Impact of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Family Resemblance Approach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Asia-Pacific Science Education)
- 2023. From Immigrants to Refugees: Relocating Strangers in Two Plays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Positions: asia critique)
- 2022. Proposal for a STEAM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xploring the roofline of a hanok using GeoGebra and 4Dfram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 2022. 구글어스를 활용한 문학지리 교육 - 학습자의 『열하일기』 장소체험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 2022. 창의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 교과서의 문제와 대안- 창의융합 교육 제재로서의 드라마 <대장금> (문화와 융합)
|
강주현 |
융합교육 연구소 |
- 연구 관심
메타버스, 디지털 융합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
연구 업적
- 2024. 교육적 관점에서 주목하는 메타버스 속성과 실천 과제: 교육 활동가들의 메타버스 집담회 참여를 통한 문화기술지적 접근 (교육혁신연구)
- 2023. 대학 언론의 제작 환경 분석과 활성화 방향 탐색 각 지역의 대학 언론 내부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한국방송학보)
- 2023.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를 활용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초등학생의 공감적 문제 발견과 창의적 해법 교육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02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에 필요한 앙트러프러너십의 의미와 교육 방향 (교육연구논총)
- 2023.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뉴스 이용 과정과 유형: 지역뉴스를 집중 이용한 대학생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한국방송학보)
- 2022. 지역 기반 미디어의 하이퍼 로컬리즘과 지역성 범주 변화 : 부산 지역 기반 유튜브 채널 운영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한국언론학보)
- 2020. 다매체 환경에서 뉴스 이용자의 뉴스 선택 과정과 유형 (한국언론학보)
|
김진철 |
융합교육 연구소 |
- 연구 관심
교육심리(인지, 긍정심리), 혁신교육, 교육과정, 종단연구방법
-
연구 업적
- 2024. 6. 청소년기 그릿의 잠재집단 분류와 학습자 특성의 예측 (창의력교육연구)
- 2023. 9.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 그릿, 학업무기력의 종단적 매개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022. 9. 일반고등학생 교과 흥미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 2021.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교육 탐색과 시사점 (학이당)
- 2018. 교육혁신의 성과와 전망, 연구로 답하다. (형설출판사)
- 2011. 긍정성과 다양성에서 바라본 학교교육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 2008. 영재성, 사고양식,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학술정보)
|
박주정 |
융합교육 연구소 |
- 연구 관심
학교 내 구성원 갈등, 학교폭력 예방, 학교 부적응 학생 대책, 대안교육의 방향성, 인터넷 중독 예방, 청소년 우울 및 자살 예방, 청소년 도박 및 약물 예방, 학부모 자녀교육
-
연구 업적
- 1. 전국교육연수원 교원 역량 교육 30회 출강
- 2. 한국교총과 일본교총 대표강연
- 3. 한국교원대 교장자격연수 유, 초, 중 과정 출강
- 4. KBS 아침마당 3회 출연, CBS 새롭게하소서 출연, MBC 라디오 고정출연, 교통방송 고정출연
- 5. 전국 유, 초, 중, 고 학부모교육 30회
- 6. 선생 박주정과 707명의 아이들 저서 베스트셀러
- 7. 국민통합위원회 학교내 갈등조정 발제
- 8. 학교안전사고신속대응 부르미제도 전국화 추진 중
|
서재욱 |
융합교육 연구소 |
- 연구 관심
융합적 진로교육, 융합적 생태환경교육
-
연구 업적
- 2024. 늘봄학교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그린디자인)
- 2023. 청주시 아동복지관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청주복지재단)
- 2021. 청주시 아동학대예방 및 보호지원체계 강화방안 연구 (청주복지재단)
- 2019. 한국 복지국가의 주관적 빈곤 완화 효과: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정책)
- 2017. 사회지능이 장애인 근로자의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장애와고용)
- 2015. 빈곤의 다차원성: 이론적 논쟁의 검토 (비판사회정책)
- 2014.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청소년학연구)
|
이찬희 |
융합교육 연구소 |
- 연구 관심
융합교육과정론,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
-
연구 업적
- 2024. Didaktik 분석을 통한 학생이 배운 내용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구 (교육과정연구)
- 2024. 초등 통합교과 단원 개발 모형으로서 KWL 모형 구안 (교육과정연구)
- 2024.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사와 학생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사례 연구_누가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가 (통합교육과정연구)
- 2024. 초등학생이 선정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내용과 조직 방식 탐구 (초등교육연구)
- 2024. ‘학생과 수업을 만든다는 것’의 의미 연구_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 2023. 학생이 배운 내용을 연구하는 방법으로서 학습 상담법 구안 (초등교육연구)
- 2021.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용 도서 사용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탐색 (통합교육과정연구)
|
홍미영 |
융합교육 연구소 |
- 연구 관심
교육정책의 융합적 적용, 융합적 교원 전문성 역량, 학교정책 개발과 평가
-
연구 업적
- 2024. The significance of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 a narrative inquiry from the perspective of a school police officer at a Youth Police Academy in Korea (Frontiers in Education)
- 2023. 지속 가능한 교사양성교육 (ITE) 방향성 탐색: 싱가포르와 핀란드 사례에 기초하여 (교육학연구)
- 2023. 회복적 전체 학교 접근 (RWsA) 에 기초한 단위학교 학교폭력 정책 모형 고안 및 적용 논의 (교육비평)
- 2021. 고교학점제를 통한 고교 정책 하위체제 간 연계 방향 탐색한국, 미국,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 2020. 정책 과정론 관점에서 외고· 자사고 정책 논의 (교육정치학연구)
- 2020. 한국과 핀란드의 교사정책 비교: 전문적 자본 이론에 기초하여 (비교교육연구)
- 2019. HRD 정책으로서 BK21 의 종단적 성과평가 방향 제안: 미국 STEM 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
김영미 |
융합교육 |
- 연구 관심
융합교육 교수법, 교수동기, 교사 전문성 개발
-
연구 업적
- 2024. 예비교사의 R&E 활동 지도를 통한 PCK 변화에 대한 연구 (현장과학교육)
- 2024.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회복탄력성: 설명적 혼합연구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024. The interplay of teacher resili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case of two beginning EFL teachers in South Korea (Porta Linguarum)
- 2023.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중심지 이론 모델링 활동의 교육적 효과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 2023. 탐구실험 교육봉사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023. An activity-theoretic analysis of two beginning FL teachers’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their pedagogical responses: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
유성열 |
초등교육과 |
- 연구 관심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융합 교육과정 개발-실행-평가
-
연구 업적
- 2024. 학교 단위 과목 개발 과정 및 쟁점 탐구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맥락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 2024.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 2024.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대한 비판적 고찰: Berlant의 ‘잔혹한 낙관주의’ 논의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연구)
- 2024.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AI 교육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
- 2024. 초등 통합교과를 통한 AI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시론적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 2023. 교사가 제안하는 미래 교육과정 내용 탐구 (초등교육연구)
- 2023. 융합 교육과정의 평가 내용 범주 탐색 (교육과정연구)
|
이한나 |
초등교육과 |
|
전공 사무실 |
조교 |
043-230-3856 |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행정실 |
일반대학원 |
043-230-3799 |
교육대학원 |
043-230-38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