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대학원 융합교육전공 커리큘럼 소개

대학원 커리큘럼

전공
영역
교과목번호 과목명(영문명) 학점




837-501융합교육의기초(The Found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 교육의 필요성, 목적, 방법의 특징 등 융합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한 내용을 탐색한다.

3-3-0
837-502융합교육방법론(Methodology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의 문제영역과 융합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접근방법을 소개하고, 기존의 교육방법과의 공통된 토대와 차별성을 비교하여 다룬다.

3-3-0
837-503융합교육컨퍼런스(Conference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이라는 학문의 정체성과 융합교육전공자들의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3-3-0
837-504융합교육교재연구(The study of convergence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이 강좌에서는 학생들이 변화하는 사회 속의 과학, 사회학, 인문학, 예술의 협업을 통해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이를 가르칠 수 있는 실행 능력을 갖추도록 안내할 수 있는 교재를 연구한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창의성 함양과 융합인재 관련 역량의 성격 및 목표와 내용 등에 대해 검토한다.

3-3-0
837-505융합교육자의퍼실리테이팅(Facilitating of convergence educator)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교수법을 바탕으로 융합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퍼실리테이터로서의 교사 역할과 교수법을 연구한다. 융합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캡스톤디자인과 같은 다양한 학습자 중심 참여형 교수법을 탐색하고, 이를 융합교육에 적용하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3-3-0
837-508융합교육프로그램개발과실행(Development and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이 강좌는 교사가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성을 함양한다.
첫째,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융합교육의 지향을 이해한다.
둘째,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전문성 요소를 구축한다.
셋째, 개인 및 그룹 단위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3-3-0
837-509유·초·중등 연계 융합교육 프로젝트(Convergence education project for grade K-12)

유치원 놀이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2학년의 통합교과를 고려하여 놀이와 실생활 문제를 중심으로 특정 교과의 구분 없이 학습내용의 융합을 도모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특히, 몰입, 자신감, 열정을 발생시키는 놀이와 융합교육의 감성적 체험을 연결하는 융합적 학습의 가능성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한다.

3-3-0
837-510융합교육 논문작성법(Technical Writing in Convergence Education)

논문작성의 과정과 방법의 기초를 습득하고, 소주제 논문작성의 연습을 병행하여, 향후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능력을 배양한다.

3-3-0
837-511융합교육 문헌연구(Literature research in Convergence Education)

본 강의는 융합교육 전공자들을 위해 융합교육 관련 논문을 살펴보고, 다양한 학문에서 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 교육의 방향과 맞물린 구체적인 논문 주제를 잡고, 이에 필요한 다양한 연구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적용도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다.

3-3-0
837-514다문화와 융합교육(Multicultural Studies and Convergence Education)

이 교과목에서는 다문화 교육 측면에서의 융합교육 방법과 연구를 탐색한다. 복잡성이 증가하는시대에 문화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문화의 복잡성과 다양성 인식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에 대한 다각도적인 조명이 필요하다. 본 강좌에서는 다문화를 융합교육 내에서 어떻게 풀어낼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3-3-0
837-515인공지능 활용 융합교육 방법(Method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의 기초,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융합교육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실제적으로 탐구한다.

3-3-0
837-517융합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 in Convergence Education)

본 교과목에서는 수강생들이 융합교육에서 사용되는 연구방법론을 익히는데 목적을 둔다. 본 강의에서는 크게 연구문제 설정, 연구방법론 탐색, 연구제안서 작성이라는 세 가지 분야를 다룰것이다. 먼저 연구문제 설정하기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 가설 설정법을 다룬다. 연구방법론 탐색에서는 양적, 질적, 문헌연구를 다룬다.

3-3-0
837-519인문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데이터 컴퓨팅(Data computing for human and social scientific research)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를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파이썬(Python)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관련 연구 내용 분석 기법을 탐색한다.

3-3-0
837-520융합교육과 교육정책(Educational Policy for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의 목표, 이론, 실제 등을 교육정책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교육정책의 의제설정과 정책입안 등 융합교육의 체계화와 적극적 실천을 위한 교육정책의 절차와 새로운 방향을 논의한다.

3-3-0
837-521디지털 전환시대의 융합교육(Convergence Educa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대 변화에 부응하여, 정보의 데이터화, 데이터의 시각화, 공간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지각방식 등을 이해하고,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융합교육의 새로운 도구와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3-3-0
837-522학교 밖 융합교육(Convergence Education outside the Schools)

학교 교육과정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의 다양한 유형을 포괄적으로 논의한다. 박물관 체험 프로그램이나 지자체의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현장의 융합교육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융합교육의 확장성과 가치를 검토한다.

3-3-0
837-523융합교육 교수설계(Instructional Design in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 전공 심화 과정으로, 체계적인 융합교육 실천을 위하여 교수설계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융합교육의 실제에 적용한다.

3-3-0
837-524융합이론연구세미나(Seminar in Convergence Studies)

분과 학문과 개별교과영역 형성 이면의 사유와 융합적 접근에 연관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여 융합교육에 대한 종합적 이해 역량을 기른다. 전반적인 융합적 사고와 이론의 지평에 융합교육을 맥락화시켜 이해하고, 이에 대한 토론 과정을 거쳐 융합교육 실천의 이론적 기반을 확장한다.

3-3-0
837-525융합교육 연구동향(Issues in the Research on Convergence Education)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온 융합교육 연구의 전개 과정을 검토한다. 융합교육 연구동향 점검을 통하여 융합교육의 현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융합교육 연구의 성과를 융합교육 실제에 적용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3-3-0
837-526융합교육 양적연구 방법론(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Convergence Education)3-3-0
837-527융합교육 질적연구 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Convergence Education)3-3-0
837-528융합교육 콜로키움 1(Colloquium 1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 전공 분야의 다양한 내용에 대한 개요

3-2-1
837-529융합교육 콜로키움 3(Colloquium 3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 전공 분야의 다양한 내용의 융합적 교육에 대한 고찰

3-2-1




837-601심미적융합교육의이해(Understanding of aesthetic convergence education)

창의성과 창의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융합교육의 방법과 방향을 탐색한다.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이해한다. 심미적(審美的) 체험을 기반으로 한 융합교육의 방법을 모색한다. 아름다운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심미적 융합을 경험하고 각 분야에서 창조적인 융합교육에 활용한다. 다양한 분야와 전공들이 상호 소통하여 융합적인 배움을 체험한다.

3-3-0
837-603컴퓨팅적융합(Convergence based on computing)

이 강좌에서는 교사들이 컴퓨팅적 사고를 가지고 다양한 학문을 융합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고자 한다. 특히 보이지 않는 미시 세계나 너무 거대하여 인식하지 못하는 세계, 혹은 확률이나 복잡한 논리가 필요한 지식 등을 학생들 수준에 맞게 분해하거나 가시화하는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 육성의 역량을 갖춘 교사를 길러내는 것이 이 강좌의 목적이다.

3-3-0
837-605융합교육실습 I(Teaching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 I)

이 강의는 융합의 방향을 기존의 STEAM의 분절적 통합에서 벗어나, 중심 주제를 기반으로 융합의 체험을 제공함

3-3-0
837-606융합교육실습Ⅱ(Teaching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Ⅱ)

이 강의는 융합의 방향을 기존의 STEAM의 분절적 통합에서 벗어나, 중심 주제를 기반으로 융합의 체험을 제공함

3-3-0
837-607융합교육실습Ⅲ(Teaching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Ⅲ)

이 강의는 융합의 방향을 기존의 STEAM의 분절적 통합에서 벗어나, 중심 주제를 기반으로 융합의 체험을 제공함

3-3-0
837-608융합교육실습Ⅳ(Teaching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Ⅳ)

이 강의는 융합의 방향을 기존의 STEAM의 분절적 통합에서 벗어나, 중심 주제를 기반으로 융합의 체험을 제공함

3-3-0
837-610융합 코칭 상담의 실제(Practice of Convergence Coaching Counseling)

개인의 창의력 개발과 발전적 사고를 위한 융합 코칭상담의 실제를 다루는 내용으로 구성하며, 융합적 사고의 확장을 통한 자기개발과 지도력 함양을 위한 논의 및 접근을 한다. 티칭과 멘토링과 코칭상담의 역량을 길러 융합적 자기효능감을 확장시킨다.
* 이 과정을 수련 하는 수강생은 “창의융합교육코칭전문가 2급(한국직능원에등록된자격임) 자격을 취득할 기회가 부여됨.)

3-3-0
837-611융합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Construction of Network for Convergence)

융합적 사고의 발달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이미 융합적 사고를 실행하고 있는 멘토와의 네트워크 구축이다. 이 강좌에서는 사회 각계에서 융합적 사고로 성공한 멘토들을 모시고, 다양한 경험을 교류하고, 융합교육전공자들이 어떤 방향으로 자신의 역량을 개발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실천적 방법을 협력하여 개발하는 역량을 기른다.

3-3-0
837-613창의인성 집단프로그램(Group Program to Creativity Character)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공감, 소통, 배려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집단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적 강의로 진행됨. 창의력의 유연성과 혁신적 사고의 전환을 통한 자아탄력성 함양, 품성 및 인성 확장을 위한 실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역량을 기른다.
* 이 과정을 수련 하는 수강생은 “창의융합교육코칭전문가 2급(한국직능원등록된자격임) 자격을 취득할 기회가 부여됨.)

3-3-0
837-616융합예술연구(Studies on Convergent Arts)

미술과 음악을 중심으로 수학과 과학, 첨단기술과 매체를 다양하게 활용한 융합적인 예술 작품을 살펴보고 이를 융합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3-3-0
837-617과학과 예술 융합의 이해(Understanding of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the Arts)

과학 분야와 예술 분야는 분야별 특성을 갖는 영역으로 구분되는 한편, 영역 간 경계를 넘어서는 원리를 공유하기도 한다. 예술의 기초를 구성하는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고, 예술의 기초 이면에 작동하는 과학적 원리를 탐구하고 논의한다.

3-3-0
837-618융합교육의 공감코딩(Empathy Coding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의 목표인 창의인성교육 향상을 위한 코딩교육의 논리력, 창의력, 문제해결 향상을 추구하고 코딩접근방법을 분석하여 심리학적 관점에서 융합교육에 필요한 공감적 코딩의 교육방법을 개발한다.

3-3-0
837-620인공지능 활용 융합교육(Convergenc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기존의 분과 교과 교육의 지도 방식에서 벗어나, ML for Kids와 같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학생을 길러낼 수 있는 교사로서의 역량을 기름

3-3-0
837-621AR, VR과 융합교육(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이 강좌는 증강현실 (AR), 가상현실 (VR) 및 가상 환경 기술 (VET)의 기본 원리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융합교육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와 실제 교육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의 플랫폼으로 AR, VR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을 수강생은 학습한다. 이 과정은 가상 환경의 스크립팅 및 렌더링의 기초에 대해 배우고 AR, VR 기술을 사용하여 융합교육의 실천적 연구를 수행하는 AR, VR 랩으로 구성된다. AR, VR 기술의 강점과 한계에 대해 충분히 배우고 난 뒤 단순한 몰입형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서 벗어나 융합교육 상황에서 AR, VR 매체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학습 조건과 학습자의 인지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본 교과목의 주된 목적이다.

3-3-0
837-622빅데이터 분석과 인문사회교육(Big Data Analysis,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구조화된 데이터 집합에 한정되었던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자연과학적 분석 형식은 인간 생활의 다른 측면을 조명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벗어나고 있다. 빅 데이터 분석가는 제품 리뷰, 소셜 미디어 상의 포스팅, 음악, 소설, 예술 등 처음에는 전혀 숫자 데이터처럼 보이지 않는 사물들에서 패턴들을 찾아내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분석 방식은 우리가 “인문학”이나 “사회과학”으로 그룹화 한 학문 분야에서도 새로운 물결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이 강좌는 문학이나 역사, 사회, 그리고 예술과 관련된 현상을 비추는 기술로서 빅 데이터 분석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탐색한다. 이 과정의 목표는 먼저 수강들에게 빅데이터 분석의 기초를 소개한 다음 이러한 분석 방법을 인문사회 교과 교육에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특별한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3-3-0
837-623스마트시티와 융합적 사고(Smart City and Convergent Thinking)

교과목의 목표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이 다양한 규모(예 : 도시, 지구, 이웃, 블록, 건물)에서 건축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 기술과 도시화의 교차점에서 일하는 여러 행위자의 역할을 융복합적 시각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본 강좌는 기술, 인간 사회 및 자연 환경의 복잡한 상호 작용에 의해 도시 공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융합교육의 맥락의 확장이라는 차원에서 본 교과목의 내용은 다루어진다.

3-3-0
837-624스마트팜과 융합교육(Smart Farm and Convergent Education)

전 세계 대부분의 농부들은 무엇을 재배하고 어떻게 재배할까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오랫동안 불완전하고 종종 부정확한 정보에 의존해야 했다. 따라서 새로운 농업 기술의 역할은 농업 결과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여 정보 오차를 줄이는 것에서 비롯한다. 스마트팜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탄생하였다. 스마트팜에서는 최상의 비료 유형, 작물 순환 전략 및 기타 현장 관리의 여러 측면에 대한 디지털적 측정이 시도되어 수확량을 보다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지속 가능하게 산출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오랫동안 모든 농부의 꿈이었다.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고 점점 더 저렴해지는 일련의 새로운 기술 덕분에 이 목표는 현재 가능한 것이 되었다. 빅 데이터, 디지털 기술, 클라우딩 시스템, IoT, 생물학, 경영학 등 융복합적 사고가 스마트팜의 운용을 위해서는 요청된다. 본 교과는 농업계열 특성화고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스마트팜 학습을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시도하고자 설계된다.

3-3-0
837-625과학과 융합교육(Sci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과학의 시각에서 바라본 다양한 융합 문제의 사례를 제공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가진다.

3-3-0
837-626실생활기반 융합교육(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Practical Life)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융합 문제의 사례를 제공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가진다.

3-3-0
837-627생태전환 융합교육 1(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1)3-3-0
837-628생태전환 융합교육 2(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2)3-3-0
837-629특수교육과 융합교육(Special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협동, 협력, 창의성 함양을 위한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안 모색

3-3-0
837-630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융합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3-3-0
837-631진로와 융합교육(Career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3-3-0
837-632예술기반 융합교육(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Art )

예술의 기초를 구성하는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고, 예술의 기초 이면에 작동하는 융합의 원리를 탐구한다. 이를 기반으로 예술기반 융합교육의 방법론을 모색한다.

3-3-0
837-633융합교육 콜로키움 2(Colloquium 2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 전공 분야의 다양한 내용의 융합적 접근에 대한 고찰

3-2-1
837-634융합교육 콜로키움 4(Colloquium 4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교육 전공 분야의 다양한 내용의 융합적 교수방법에 대한 고찰

3-2-1

837-821논문연구세미나Ⅲ (Thesis & Dissertation SeminarⅢ)1-1-0
837-822논문연구세미나Ⅳ(Thesis & Dissertation SeminarⅣ)1-1-0
837-823논문연구세미나Ⅴ(Thesis & Dissertation SeminarⅤ)1-1-0
837-824논문연구세미나Ⅵ(Thesis & Dissertation SeminarⅥ)1-1-0
837-811개인연구I(Independent Study I)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1-1-0
837-812개인연구II(Independent Study II)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1-1-0
837-813개인연구III(Independent Study III)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1-1-0
837-814개인연구IV(Independent Study IV)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1-1-0
837-815개인연구V(Independent Study V)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1-1-0
837-816개인연구VI(Independent Study VI)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1-1-0
837-817개인연구VII(Independent Study VII)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1-1-0
837-818개인연구VIII(Independent Study VIII)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2-2-0
837-819개인연구IX(Independent Study IX)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3-3-0
837-820개인연구X(Independent Study X)

학생의 논문 주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논문 연구를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고, 필요한 자료와 논의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진다.

3-3-0
 
  • 국제융합교육발전학회
  • 씨드
  • 4D프레임
  • 하늘소리오카리나
  • 전국교사힐링상담센터
  • 깨봉수학
  • 청송교육문화진흥회
  • 한국인문사회연구소 협의회